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조각

SKT, KT, LGU+ 5g 안터짐 현상 알아보세요

by 로보찌빠냥 2020. 6. 11.
반응형

안녕하세요 찌빠냥 입니다.

요즘 부쩍 제가쓰는 오래된 핸드폰이 LTE 속도가 느려지고 있다고 느껴지고 있는데요. 국내 5G 현황과 전망에 대해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SKT, KT, LG U+ 통신사들은 5G 초반에는 엄청나게 광고를 해대더니 요즘은 좀 잠잠해졌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5G 이용자들의 속도 이슈는 이제 이슈도 되지 않을 만큼 악명이 높은데요. 비싼 5G 요금으로 4G와 큰 차이가 없이 이용한다면 불만들이 생길만합니다.

 

한국은 2019년 상반기에 3.5 GHz 대역에서 최초로 5G가 상용했습니다. 그러나 주파수 자원의 제한기지국 부족 4G와의 차별화 실패 등의 이유로 현재까지 큰 성과는 없는 형국입니다. 초반 내놓았던 청사진 들은 청사진으로만 남아있는 상황이죠.

 

KDB 미래전략연구소 보고에 따르면 현재 서비스 중인 3.5 GHz 대역은 망이 불안정하고 커버리지가 작은 문제가 있다고 합니다. 

 

불안정한 대역 망

3.5 GHz 저주파 대역은 대역폭이 좁고 5G와 4G가 주파수를 공유하는 상태로 5G 이용 중 주파수가 부족해지면 4G로 전환되는 시스템입니다. 데이터 이용이 집중되는(사람이 많이 모이는) 주요 지역에서는 4G로 전환되는 현상이 있죠. 지하철 및 대형 쇼핑몰 등에서 4G로 변경되는 경험을 하신 게 바로 이런 이유입니다.

 

빠르지만 아직 모자란 속도

5G의 평균 속도는 0.2 Gbps 전후로 4G의 4배 수준입니다. 5G의 이론적 최고 속도는 20 Gbps로 현재의5G와는 차이가 큽니다. 5G를 이야기할 때 항상 이야기되는 5G를 이용한 자율주행 등 실시간 대용량 데이터 처리는 아직 먼 이야기로 생각됩니다.

 

주요 국가 5G 다운로드 속도

5G 다운로드 속도

 

 

부족한 기지국

5G 기지국은 2020년 2월 말 기준 약 11만 개로 19년 초 3만 6천 개보다는 4배 이상 증가했지만 여전히 4G 대비 기지국이 부족하고 주요 도시 위주로 집중되어 있는 모습이 보입니다.

 

지방은 아직 부족한 모습입니다.

4G와의 차별화 실패

'조금 더 빠른 4G'로는 소비자에게 어필할 수는 없었습니다. '빨라서 좋은데 그래서 뭘 할 수 있지?' 현재 지금까지는 할 수 있는 것이 4G에서도 할 수있는 컨텐츠 들이 대부분 입니다. 실시간 게임,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은 휴대폰의 디스플레이 해상도 등 휴대폰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사른 산업도 함께 발전을 해야 하는 분야로 아직까지는 더딘 발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차별화 실패로 인한 가입자 추이가 둔화되고 있고 사용자 만족도는 낮은 형국입니다.(“5G 서비스 만족도 30%대 불과(’19.12.14)”, 해럴드경제)

 

향후 전망

5G는 정부차원에서도 적극 지원하는 기술 산업으로 그에 따른 성장은 기정사실인 듯합니다. 통신 3사에서는 28 GHz 대역을 확보한 상태로 단독 모드(4G와 시스템을 공유하지 않고 5G 시스템을 새로 구축하여 안정성이 좋음) 구축에 따른 안정성이 올라갈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2020년 5월 7일 정부 발표에 따르면 (한국판 뉴딜정책) 정부가 5G가 인프라에 투자를 할 것으로 예상되고 통신 3사는 2021년부터 인프라에 적극 투자를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실감 콘텐츠도 정부지원과 관련 산업 발전으로 4G와의 차별화가 점차 될 전망입니다.

 

소비자들의 해결방법

사실 5G 문제들이 개선되기를 기다리는 방법밖에 달리 방법이 없습니다. 물론 통신사가 홍보에만 신경 쓰는 것에 불만을 가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가 멱살 잡고 끌고 가는 면이 있고 언젠가는 가게 될 5G이기 때문에 지금의 불편은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주는 분들이 있어야 관련 산업이 발전하고 인프라가 좀 더 빨리 깔리는 것이라 생각하고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물론 불만을 갖지 말아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불만이 있을때 소비자는 목소리를 내야 단점들이 빨리 개선되기 때문입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료출처 : KDI 경제정보센터(http://eiec.kdi.re.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