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학생선수 최저 학력제도가 어떤 제도인지,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학생선수 최저 학력 제도란?
학생선수 최저 학력 제도는 학생선수들이 일정 수준의 학업 성적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대회 출전을 제한하는 제도입니다. 제도의 목적은 학생선수들이 운동뿐만 아니라 학업에도 충실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데 있습니다. 물론 좋은 취지이지만 취지와는 다르게 문제점이 있습니다.
- 학생선수들이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등 주요 교과 성적이 일정 수준을 넘지 못할 때 대회 출전을 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학교가 학생선수의 학습권 보장을 위해 노력을 더욱 기울이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학생선수 최저 학력 제도의 주요 내용
- 정의: 학생선수들이 주요 교과 성적이 일정 수준을 넘지 못할 때 대회 출전을 제한하는 제도입니다.
- 적용 대상: 초등학교(4-6학년),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선수들이 대상입니다.
- 시행 일정: 2024년 2학기부터 시행 예정입니다.
- 법적 근거: 학교체육진흥법 제11조 및 시행령 제6조에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 시행 배경: 다음 학기부터 일정 학업 성적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학생선수는 약 6개월간 스포츠 대회 참가가 제한됩니다. 이는 '학생선수 최저 학력 기준' 정책의 일환으로, 학업과 운동의 균형을 장려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학생선수 최저학력에 미도달 하면?
- 만약 2024학년도 1학기말 해당과목 성적이 최적학력에 미도달 하면, 해당 학생 선수는 2024.9.1.부터 다음 해 2월 말일까지 대회 참가 제한
- 2023년 2학기말 최저학력 미도달 학생선수는 2024년 1학기 대회 참가 허용 가능.
- 학교장은 초·중·고 학생선수가 최적학력에 미도달하면 의무적으로 과목별 기초학력보장 프로그램(e-school 등 보충학습)을 이수하도록 하여야 하며, 초·중 학생은 일정기간 대회 참가를 제한하고, 고등학생은 대회 참가 허용 가능.
- (초·중) 5개 과목 중 1개 과목만 미도달하여도 대회 참가 제한.
학생 선수 이스쿨(e School)을 통한 수업 보충 안내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학생 선수들의 이스쿨을 통한 '수업결손 보충' 및 '출석 인정 결석 허용 일수 기준'에 대한 내용을 작성해 보겠습니다. 가족 중에 학생선수가 있다면 출석 일수를 잘
ldelight.tistory.com
최저학력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 초등학교 : 해당 학년 평균의 50%
- 중학교 : 해당 학년 평균의 40%
- 고등학교 : 해당 학년 평균의 30%
학생선수들이 운동에만 치중하지 않고 학업에도 충실할 수 있도록 하는 이 제도는 학생선수들의 전반적인 성장과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2024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니, 학생선수 및 관련 교육 기관에서는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학생선수 최저학력제의 문제점
학생선수 최저학력제는 운동만이 아닌, 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하기 위한 최소한의 학식을 갖추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여러 체육 관계자들 사이에서도 이 제도에 대한 찬성이 높지만, 구체적인 실행 단계에서 다양한 이견이 존재합니다.
문제점 분석
- 예체능 특기자 간의 형평성 문제
- 이해당사자들의 의견 수렴 부족
- 과목 선택의 무작위성
- 학교 간 교육 수준 격차
- 대회 참가 형평성 문제
- 출전 금지 기간 설정의 이유
- 시범 운영 부재
학생선수 최저학력제의 본질과 오류? ‘대회참가 금지가 아닌 최저학력제 시행금지’가 되어야!
오늘 필자는 10여년간 학생선수 최저학력제를 연구해온 사람의 입장에서 이 제도에 대해 냉철하게 분석 해...
blog.naver.com
특히 체육 특기자에게만 적용되는 현 제도의 한계와, 정부의 부족한 사전 준비와 소통이 문제로 지적됩니다.
다음과 같은 대안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 학생선수들에게 교과목 선택권 부여
- 미도달 학생을 위한 보충 수업 개발
- 학생선수 전용 자격 시험 도입
- 상급학교 진학 시 미도달자에 대한 차별화된 요강 설정
학생선수들이 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도,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 방안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결론
학생선수 최저학력제는 좋은 취지에서 출발했으나, 현재의 운영 방식과 정책은 다양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과 함께, 학생선수들의 교육과 성장을 도울 수 있는 실질적인 대안이 모색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정부와 교육 당국은 학생선수들의 목소리에 더 귀 기울이고, 실질적인 개선책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 같습니다.
'유용한 정보 조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투게더 적금으로 최대 6% 금리 내용 정리 (0) | 2024.04.11 |
---|---|
어린이날, 선물은 몇살까지 줘야 할까? (0) | 2024.04.08 |
어버이날 어떤 선물을 많이 할까?(어버이날 선물 TOP6) (0) | 2024.04.06 |
나이키 '에어맥스 플러스 드리프트 조각 찾기' 퀴즈 정보 및 정답 (0) | 2024.04.06 |
2024 불광천 벚꽃축제 "은평의 봄" 일정, 출연진 정보 (0) | 2024.04.05 |
댓글